Podchaser Logo
Home
SBS 스페셜

SBS

SBS 스페셜

A weekly Society and Culture podcast
Good podcast? Give it some love!
SBS 스페셜

SBS

SBS 스페셜

Episodes
SBS 스페셜

SBS

SBS 스페셜

A weekly Society and Culture podcast
Good podcast? Give it some love!
Rate Podcast

Episodes of SBS 스페셜

Mark All
Search Episodes...
SBS스페셜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3부방송일시: 2024년 5월 5일 일요일 밤 11시 5분연출: 이동원, 고혜린뮤지컬 연출가 김민기, 음악가 김민기 등 비교적 대중에게 익숙한 모습이 아닌, 사회의 '뒷것'으로서 곳곳에서 영향력을 발휘했던 김민기의 숨은 행보들을 조명한다.이 가운데 김민기가 유독 학전 어린이 무대에 열정을 쏟았던 이유와 그가 어린이들을 위해 행했던 헌신이 공개되며 다가오는 ‘어린이날’의 의미를 한층
SBS스페셜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2부방송일시: 2024년 4월 28일 일요일 밤 11시 5분연출: 이동원, 고혜린송창식, 조영남, 박학기, 나윤선, 장필순, 강산에, 윤도현, 정재일 등 현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음악가들이 '뮤지션들의 뮤지션' 김민기의 음악과 삶을 증언한다.인터뷰에 나선 수많은 뮤지션들은 그 당시 학전에서 공연을 하는 것이 영광스러운 일이었다고 밝힌다.이중 윤도현은 "학전에서의 공연 전날은 들떠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 1부방송일시: 2024년 4월 21일 일요일 밤 11시 5분연출: 이동원, 고혜린‘학전’은 1991년 3월 15일, 가수 김민기가 개관한 소극장이다.180석 규모의 작은 소극장임에도, 무려 72만명의 관객이 관람하고 4,752회가 넘는 공연으로 기네스 기록을 세운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이 탄생한 공간이기도 하다.또한 700여명의 현역 배우를 포함한 예술인을 배출했으며, 200여명의 뮤지션들이
한국의 국가 연구개발(R&D) 성공률은 무려 98%에 이른다. 도전과 실패를 필연적으로 반복해야 하는 연구들이 어떻게 이토록 완벽한 성공률을 보이는 것일까? 어쩌면 한국의 박사들은 매번 ‘성공 길만 걷는 연구’를 하는 것은 아닐까? 지난주 <빵 터지는 노벨상> 1부에서 소개했던 이그노벨상 수상자 안드레 가임이 10년 뒤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것처럼, 지금 당장은 쓸모없어 보이는 아이디어가 훗날 인류를 구할 연구의 첫걸음일지도 모른다.
<빵 터지는 노벨상> 1부방송일시: 2023년 11월 5일 일요일 밤 11시 5분노벨상 수상자 발표가 모두 끝났다. 올해도 역시 우리나라 수상자는 없었다. 올여름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상온 초전도체 이슈도 끝내 ‘두유노 클럽’에 들지 못했고 ‘노벨상 시즌’은 조용히 지나갔다. 영영 닿을 수 없는 꿈이 되어버린 듯한 노벨상. 우리나라는 언제쯤 수상의 영예를 누릴 수 있을까? 반복되는 기대와 실망으로 지친 대한민국을 응원하기
학교의 전쟁2부 <학교, 그리고 학폭위>방송일시: 2023년 10월 29일(일) 밤 11시 5분최근 학교를 둘러싼 크고 작은 사건들로 갈등이 커지면서 학교가 멍들어 가고 있다.세상을 배우고 꿈꾸는 공간, 학교가 학교폭력 앞에서 길을 잃고 흔들리고 있다는데….학교는 왜 학교폭력 앞에서 작아지는가? 학교는 왜 아이들을 보호하지 못하는가? 학교의 전쟁 2부 ‘학교, 그리고 학폭위’에서는 학교폭력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
학교의 전쟁1부 <사라진 정의, 학폭법 제1조>방송일시: 2023년 10월 22일(일) 밤 11시 5분11년 전 대구에서 한 중학생이 학교폭력으로 세상을 등지자, 사회적 공분이 크게 일었다. 2012년 정부는 ‘학교폭력과의 전쟁’을 공포하며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개정했다. 학교폭력과의 전쟁을 선포한 지 11년이 지난 2023년 지금, 여전히 학교폭력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왜 아직도 비극을 되
육체실험[Self-experimenter] EP.2 비트루비우스적 인간방송일시: 2부 - 2023년 10월 15일(일) 밤 11시 5분다양한 ‘Self-experimenter’ 들의 실험들 속 놀라운 진실, 그 두 번째 이야기. 사람들은 트렌드로 떠오르는 건강법이 ‘나’의 몸에 어떤 반응을 일으킬지 확인해보기도 전에 그저 수용하고 따라 할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비결들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는 없는 법. 과연 올바른
육체실험[Self-experimenter] EP.1 산토리오의 의자 방송일시: 1부 - 2023년 10월 8일(일) 밤 11시 5분▶ 기획 의도수많은 건강 정보가 넘쳐나는 시대. 우리는 ‘나’의 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나’에게 최적화된 건강법을 찾기 위해 스스로 실험대에 오른 사람들, ‘Self-experimenter’들의 다양한 실험들 속에서 놀라운 진실이 밝혀진다! ▶ 매년 26억을 들여 자신을
3부: 게임 체인저스▶ 사건의 판도를 뒤집는 자, 게임 체인저부부싸움 도중 홧김에 집에서 목을 맸다는 부인의 시신이 국과수로 들어왔다. 남편은 매달려 있는 부인을 발견하고 끈을 가위로 자르고 시신을 방으로 옮겨 놓았다고 진술했다. 그런데 부검대 위의 시신은 다른 말을 하고 있었다. 두 다리가 공중에 떠 있었다면 나타날 수 없는 출혈들이 보였던 것. 창백해야 하는 얼굴도 붉은색을 띠고 있었으며 온몸에 의문의 상처들을 발견할 수 있었
2부: 파괴자들▶ 영혼의 파괴자, 악마가 되어버린 휴대폰누군가 나의 휴대폰을 훔쳐보고 있다면? 어느 날 문자로 받은 휴대폰 인증 보호앱 설치 링크. 보호앱이라는 이름에 무심코 누른 선택으로 내 휴대폰의 모든 정보는 보이스피싱 조직에게 넘어가고 무방비 상태가 되어버린 휴대폰은 심지어 실시간으로 관찰되며 우리의 삶을 뒤흔들고, 영혼까지 파괴시킨다. 국과수에서는 이러한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의 공격을 막기 위해 최신 음성 분석 기술을 도
1부 - MISSING: 나를 찾아줘▶ 망망대해에서 발견된 백골의 얼굴복원신고를 받고 출동한 해양 경찰. 바다위에 떠있는 변사자를 발견했을 때는 이미 부패가 진행되어 얼굴은 이미 백골화가 되어 있었다. 손목과 발목도 훼손되어 지문을 채취 할 수 없었고, 신원을 알 수 있는 어떤 식별정보 또한 찾을 수 없었다. 부검을 지휘한 법의관은 변사자의 신원을 알아내기 위한 마지막 방법으로 얼굴복원을 선택 했다. 얼굴복원은 국과수 법의 신원
2부: <공부방 없애기 프로젝트>▶ 똑똑한 아이로 키우고 싶다면? 공부방을 없애라!집집마다 구조는 다르지만, 아이가 공부할 시기가 되면 부모들은 비슷한 고민을 가진다. 바로 내 아이의 공부방을 어떻게 꾸며 줄 것인가! 남들 따라 좋은 것으로만 채워준 공부방, 부모들은 이곳에서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의 모습을 꿈꾼다. 하지만 닫힌 방문 속 아이는 공부를 하는 건지 노는 건지 불안하기만 하다. 우리 아이 공부 공간, 이대로 괜찮을까?
◇ 1부: <학원 끊기 프로젝트>▶ 내 아이를 위한 단 한 번의 터닝 포인트!“학원이 메인이죠. ‘학원에서 하는 게 진짜 공부다’라고 생각하고 살았던 것 같아요”- 사교육 1번지 대치동의 학부모학부모들에게 학원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시대. 남들이 하니까, 아이가 뒤처질까 하는 불안함에 부모들은 오늘도 자녀를 학원을 보낸다. 부모들은 내 아이의 성적을 올려줄 최상의 학원을 찾기 위해 온갖 정보력을 동원하고, 어느새 학원
# 내 이름은 레베카 또는 정조희한인 교회에 다니며 한국인들과 어울리고 한국 할머니들이 담근 김치를 먹던 미국인 소녀가 있었다. 그녀의 이름은 레베카 키멜. 현재 미국에서 예술가로 활동하고 있는 그녀는 1976년, 생후 5개월 때 미국으로 건너간 한국계 입양인이다. “아이가 저를 올려다보면서 활짝 웃더라고요. 처음부터 웃음이 아주 많은 아기였어요.”키멜 여사 / 레베카 씨 양어머니광주의 한 조산원 앞에 버려진 그녀의 한
#네 명의 은둔 경력 청년과 함께하는 <곰손 카페> 서울 한복판에 덜컥 카페를 열어버린 카페 사장 최준(개그맨 김해준)! 오로지 곰 손으로만 손님을 응대하는 그의 카페에는 특별한 비밀이 하나 있다. 이곳에서 일하는 직원들의 정체가 은둔 경력자라는 것. 이들은 1년 이상 방 밖을 나오지 않았거나 사람들과 관계를 맺지 않았던 사람들이다. 지난 1년 동안 ‘좀비’나 다름없는 삶을 살았다는 우리, 평범하게 세상 밖으로 나오고 싶었
# 카페 사장 최준, 수상한 카페의 사장이 되다 철이 없어 에티오피아로 커피 유학을 떠났던 ‘카페 사장 최준(개그맨 김해준)’이 MZ 세대의 핫플레이스, 서울 성수동 골목에 진짜 카페를 열었다. 그런데, 이 카페에는 한 가지 특별한 점이 숨어 있다. 바로 귀여운 곰손이 주문을 받는다는 것! 여느 카페와 달리, 서비스 미소를 장착한 직원의 얼굴을 볼 수 없는 이 수상한 카페의 정체는 무엇일까?!# 방 안의 청년들에게 손을
◇ 3부: <마지막 시그널> ▶ 잿더미 속 숨겨진 단서, 화재 감식여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지하 주차장 화재.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화재방화연구실이 현장 조사에 나섰다. 빛 한 점 들어오지 않는 지하, 매캐한 공기와 날리는 먼지 속에서 단서를 찾아야 한다. 현장에서 발견된 변사자의 부검도 함께 진행됐다. 변사자의 사망원인, 불길이 지나간 흔적, 까맣게 타버린 전선 등을 분석해 화재 원인을 찾아내는 화재방화연구실의 조사 과정이
◇ 2부: <숨겨진 흔적>▶ 망망대해 선원 실종 미스터리, 혈흔이 말하는 그 날의 진실바다 한가운데, 선원이 실종됐다. 선원의 방 안에는 한 사람의 것이라 보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혈흔이 방 안 곳곳에 남아 있을 뿐. 경찰은 살인사건을 의심했지만 뚜렷한 용의자도 증거도 나타나지 않았다. 사건이 미궁에 빠져가는 순간, 흔적연구실이 혈흔 분석에 나섰다. 혈흔의 형태, 크기, 각도를 분석해 선실에서 일어난 상황을 추리한 결과, 혈흔이
◇ 1부: <죽음의 추적자>▶ 베테랑 법의관의 고민, 추락사 미스터리24년 동안 국과수에서 일하며 수많은 죽음을 목격한 양경무 법의관. 그는 지난 몇 년간 추락사 부검을 도맡았다. 계기는 2호선 지하철 아래 산책로로 추락해 사망한 A 씨의 부검이었다. A 씨에게서는 추락사의 흔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가슴 중앙의 흉골 골절이 발견됐다. 타살인지 사고사인지, 어떤 것도 쉽게 단정할 수 없었다. 그런데 얼마 후, 다른 장소에서 추락한
Rate

Join Podchaser to...

  • Rate podcasts and episodes
  • Follow podcasts and creators
  • Create podcast and episode lists
  • & much more

Unlock more with Podchaser Pro

  • Audience Insights
  • Contact Information
  • Demographics
  • Charts
  • Sponsor History
  • and More!
Pro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