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 안녕하세요. TalkToMeInKorean의 이야기입니다.
석진: 안녕하세요, 경화 씨.
경화: 안녕하세요, 석진 오빠.
석진: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 주제가 뭐죠? 경화 씨?
경화: 오늘 주제는요, 대여점이요.
석진: 대여점.
경화: 네.
석진: 대여점 많이 이용해 보셨어요?
경화: 저는 대여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그... 책방!
석진: 책방! 제가 중학교, 고등학교 때 정말, 정말 동네마다 있었던 것 같아요.
경화: 맞아요. 저는 초등학교 때.
석진: 아, 초등학교 때!
경화: 네.
석진: 대여점이 주로 뭘 할 수 있는 곳이죠?
경화: 빌릴 수 있는 곳이죠.
석진: “대여”라는 뜻이 “빌린다”는 뜻인데요. 보통 저희가 중, 고등학교 때 많았던 책 대여점, 만화책 대여점 같은 경우에는 보통 얼마쯤 했었죠?
경화: 제 기억으로는 가장 싼 가격은 300원?
석진: 300원.
경화: 만화책 한 권당 300원.
석진: 아! 300원. 300원을 내면 한 3일간 빌릴 수 있었죠.
경화: 저는 하루.
석진: 하루였어요.
경화: 네. 만화책은 하루.
석진: 만화책은 하루.
경화: 그리고 소설책이 이제 뭐, 2박 3일, 3박 4일, 이렇게 빌릴 수 있었어요.
석진: 그리고 만화책, 책, 말고도 다른 대여점이 또 있잖아요.
경화: 그렇죠.
석진: 주로 어떤 대여점이 있죠?
경화: 비슷한 걸로는 이제 비디오 대여점이 인기가 굉장히 많았죠.
석진: 비디오 대여점. 그런데 요즘 많이 없어진 것 같아요.
경화: 거의 없어졌죠.
석진: 거의 없어졌어요.
경화: 그게 DVD 대여점으로 바뀌었는데 이제는 DVD 대여점도 거의 없으니까. 다, 뭐, 온라인으로 보시잖아요.
석진: 그렇죠. 좀 안타까운 게 저희 집은 DVD 플레이어도 있고, 비디오테이프, 그 플레이어도 있는데, 그게 점점 이제 못 쓰게 되잖아요.
경화: 먼지가 쌓여 가고 있군요.
석진: 네. 그게 너무 안타까워요.
경화: 네. 저는 뭔가 아련한 추억, 그 책 대여점이나 DVD 대여점 혹은 비디오 대여점 하면 그 추억이 굉장히 많은데, 그 추억이 이제 없어져 가는 느낌이 드니까... 예를 들면 공중전화 박스가 없어지는 것처럼 뭔가 추억의 장소가 없어지는 느낌이라서 아쉬워요. 근데 제가 한 몇 년 전에 봤던 영화는 “비카인드 리와인드”라는 영화가 있었는데요.
석진: 그 “잭 블랙” 나오는 영화죠.
경화: 그렇죠. 제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 “잭 블랙”이 나오는 영화인데, 그 영화도 사실 그 비디오 대여점의 향수를 그린, 그런 영화거든요. 그래서 되게 그리워요.
석진: 그렇군요.
경화: 네.
석진: 저도 대여점에 대한 추억 하니까, 좀 생각나는 게 여러 가지 있는데, 저는 그게 재밌었어요. 뭐 만화책이나 소설책을 빌리다 보면 다른 사람이 이미 그 책을 빌렸을 수도 있고, 많은 사람이 쓰잖아요.
경화: 네.
석진: 그래서 어떨 때 보면, 좀 중요한 장면이 찢어져 있거나, (아! 맞아요.) 낙서가 있는 경우도 있었어요.
경화: 맞아요. 맞아요.
석진: 그때 당시에는 정말 “아니! 제일 중요한 장면인데 이게 어디 갔어?”
경화: 화가 나죠.
석진: 네. 화가 나고...
경화: 주인한테 가서 말해야 돼요.
석진: 진짜요?
경화: 네.
석진: 그렇구나.
경화: 그래야 다른, 제 다음 사람이 또 빌려 가서 화를 내면 안 되잖아요.
석진: 그렇군요.
경화: 네.
석진: 아무튼 그랬던 적도 있었고요, 그리고 비디오테이프를 빌려 갔다가, 제 플레이어가 고장이 난 거예요. 그래서 이제 비디오테이프를 꺼내야 되는데, 안 꺼내지는 거예요.
경화: 걸렸군요.
석진: 네. 네. 걸려서. 그래서 억지로 빼다가 끊어졌어요.
경화: 그래서 변상을 하셨나요?
석진: 아니요. 정말 눈물이 쏙 빠지게 혼났어요.
경화: 그냥 혼나고 때우셨군요.
석진: 변상은 안 했어요. 이런 책이나 비디오 대여점 같은 경우에는 많이 없어지고 있는 추세인데, 그래도 아직까지 많이 있는 대여점 같은 경우에는, 저는 한복 대여점...
경화: 맞아요. 한복도 빌려서 많이 입죠. 워낙 한 벌 사면 입을 일은 별로 없는데 비싸다 보니까.
석진: 네, 맞아요. 그렇기 때문에 한복 같은 것도 많이 빌려 입는 것 같고, 제가 인터넷으로 대여점, 좀 특이한 대여점이 뭐가 있나 찾아 봤는데 축제 용품 대여점도 있더라고요.
경화: 아, 그래요?
석진: 네. 뭐가 있나 한번 봤더니, 파티를 할 때 가면 같은 거 쓰잖아요, 재밌게 하려고. 가발도 쓰고, 가면도 쓰고, 선글라스도 되게 웃긴 거, 그런 거 쓰잖아요. 근데 그거는 그때 파티 할 때만, 파티나 뭐 축제 할 때만 필요한 거고, 평소에 쓸 일이 없으니까 그것도 이제 대여를 해 주더라고요.
경화: 그렇군요. 한복 하니까 또 생각나는 게 웨딩드레스도 대부분 다 빌려서 입잖아요.
석진: 맞아요.
경화: 그렇게 사용할 일이 잦지 않은 그런 제품은 다 빌려서 쓸 수 있는 것 같아요.
석진: 맞아요. 지금까지 저희가 대여점에 대해서 얘기를 해 봤습니다. 저는 이 대여점 문화가 한국에만 있는 게 아닐까 싶어서 이렇게 주제를 정해 봤거든요. 다른 나라는 어떨지 되게 궁금해요.
경화: 다른 나라에서는 또 어떤 걸 빌려 쓰시는지.
석진: 어떤 대여점이 있는지 꼭 알려 주세요.
경화: 제 생각에 책이나 비디오 대여점은 다 있었을 것 같아요. 근데 아마 다 같이 이제 없어지고 있는 추세겠죠?
석진: 그럴까요?
경화: 네. 그럴 것 같은데요? 알려 주세요. 코멘트로.
석진: 네. 기다리겠습니다.
경화: 안녕히 계세요.
석진: 안녕히 계세요.
Podchaser is the ultimate destination for podcast data, search, and discovery. Learn More
We use cookies to provide and improve our services. By using our site, you consent to cookies. Lear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