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은: 안녕하세요. Talk To Me In Korean의 이야기입니다.
석진: 안녕하세요. 경은 선배.
경은: 네. 안녕하세요. 석진 씨. (네.) 저 선배인 거죠?
석진: 네. 경은 선배.
경은: 진짜요? (네.) 근데 왜 선배님 대우를 안 해 줘요?
석진: 저는 항상 선배님 대우해 드렸는데, 왜 그러세요.
경은: 왜 그러세요. 진짜.
석진: 네. 오늘 주제가 바로.
경은: 네. 선배, 후배인데요.
석진: 네.
경은: 한국에서는 이렇게 선배라고 하면, 선배 대우를 바라잖아요.
석진: 먼저 선배가 뭔지, 후배가 뭔지, 이걸 알려 드려야 될 것 같아요.
경은: 네. 선배가 뭐고, 후배가 뭐예요?
석진: 선배라고 하면 이제 같은 학교, 같은 단체에서 자기보다 먼저 일찍 들어온 사람. (네. 맞아요.) 그러니까 제가 1학년일 때, 2학년인 사람을 선배라고 부르고.
경은: 나이가 중요한 게 아니죠. 사실은.
석진: 그렇죠. 누가 먼저 들어오느냐.
경은: 맞아요.
석진: 그게 더 중요하죠.
경은: 실력과 나이는 중요하지 않고, 누가 더 먼저 들어왔느냐. 그게 제일 중요해요.
석진: 보통 대학교 안에서 그런 선배, 후배라는 호칭을 많이 쓰고요. (맞아요.) 동아리 안에서도 많이 쓰는 것 같아요.
경은: 고등학교도 동호회 같은 거하면, 선배, 후배 많이 하는 것 같아요.
석진: 그래요?
경은: 네. 고등학교에서도 하고, 대학교에서도 하고, 그리고 회사에서도 “선배님”이라고 호칭을 하는 곳도 있어요.
석진: 그럼 경은 누나는 대학교 다닐 때, 선배님한테 “~선배”라고 불렀어요? 아니면 “~오빠“라고 불렀어요?
경은: 저는 진짜 그냥 “오빠”, “언니”, 이렇게만 불렀어요. 그냥 뭐 “선배님!” 이렇게 한 번 불렀나? 밥 사 달라고 할 때? 밥 사 달라고 할 때, “선배님, 밥 사 주세요.” 이렇게 한 적은 있는데, 뭐 그냥 대화를 하거나 그럴 때는 전부 다 “오빠” 아니면 “언니”라고 불렀던 것 같아요.
석진: 아까 전에 말씀 하셨던 게 밥을 사 준다고 하셨잖아요. 선배라고 하면 자기 후배들을 좀 더 아끼고 그런 마음이 더 크기 때문에, 저도 제가 선배일 때는 후배들한테 밥을 많이 사 줬어요.
경은: 정말요? 그러면 석진 씨가 후배였을 때는 밥을 많이 얻어먹었어요?
석진: 네. 선배님을 보면 한 100m 전에서도 막 달려가서 밥 사 달라고.
경은: 진짜요?
석진: 학교 다닐 때는 돈이 별로 없었잖아요.
경은: 맞아요.
석진: 그래서 그런 선배님들한테 예의를 차리고 깍듯이 대하죠.
경은: 밥 사 달라고 할 때만요?
석진: 꼭 그렇진 않은데요.
경은: 보통 대학교 때는 정말 초반? 3월, 4월, 그 때까지만 밥을 사 줬던 것 같아요.
석진: 어, 그래요? (네.) 저는 1년 내내 사 줬어요.
경은: 어 진짜요? 석진 씨가요? 아니면 석진 씨가 그렇게 얻어먹었어요?
석진: 제가 사 줬어요.
경은: 아, 진짜요? 믿을 수가 없네요.
석진: 저는 좋은 선배였거든요.
경은: 아, 진짜요? 좋은 선배가, 밥 사주는 선배가 좋은 선배예요?
석진: 아마 그 후배들은 그렇게 생각했을 것 같아요.
경은: 근데 선배, 후배하면 한국에서는 또 되게 그런 게 있잖아요. 무섭게 대하고 그리고 벌을 주기도 하고 (맞아요.) 그런 경우도 있잖아요.
석진: 그렇죠. 보통 후배들이 이제 버릇없이 군다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버릇없이 굴지 못하게 하도록 기를 잡는다고 하죠.
경은: 네. 맞아요.
석진: 네. 그래서 별로 이유가 없어요. 혼날 이유가 없는데 갑자기 혼을 내요. “동아리나 여기 학교는 네가 예의를 차려야 되는 곳이니까 앞으로 나한테 잘 해라.”
경은: 맞아요. 그래서 동호회 들어가면, 처음 MT를 가면 항상 그런 시간이 있는 것 같아요. 1학년들을 모아놓고 혼내는 거죠. 너 잘 해라. 너네 잘 해라. 그래서 사실 조금 문제가 되는 곳들도 있잖아요.
석진: 매년 뉴스에서 나오죠. 너무 심하게 하는 곳이 있어서.
경은: 맞아요. 때리기도 하고. “벌을 좀 심하게 준다.” 그렇게 해서 문제가 되기도 해요.
석진: 네. 맞아요. 그런 신고식도 그냥 좋게, 좋게 하면 참 좋은데, (맞아요.) 괜히 그게 좀 거칠게 때리고, 옷을 벗기거나 (맞아요.) 그런 나쁜 방향으로 가서 그게 문제지, 선배 후배 서로 존중하는 그런 자세를 갖는 건 참 좋은 것 같아요.
경은: 맞아요. 한국이 좀 심하죠. 그런 게.
석진: 그런가요?
경은: 네. 그런 것 같아요. 그런 선배 대우를 해 줘야 되고, 대우 뿐 만이 아니라 선배니까 더 친하게 지낼 수 있고. 그런 게 더 심한 것 같아요.
석진: 맞아요. 맞아요. 그런데 그런 선배, 후배라는 관계가 나중에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 사회생활에서 다시 만나면 되게 좋은 것 같아요.
경은: 그렇죠.
석진: 네. 만약에 제가 삼성과 같은 큰 회사에 면접을 보러 갔는데 면접관이 선배예요.
경은: 그러면 안 되죠.
석진: 안 되는데, 그런 기대를 할 수 있는 거죠.
경은: 맞아요. 반갑고. 그렇군요. 알겠어요. 그러면 저희 선배, 후배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요. 여러분의 나라에서도 이렇게 선배, 후배라는 구분이 딱 지어져 있는지 그리고 선배님들이 밥을 잘 사주는지. 그런 이야기들을 저희한테 해 주세요.
석진: 네. 꼭 해 주세요.
경은: 네. 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석진: 감사합니다.
Podchaser is the ultimate destination for podcast data, search, and discovery. Learn More
We use cookies to provide and improve our services. By using our site, you consent to cookies. Lear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