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haser Logo
Home
BIBLX

SeongTaejun

BIBLX

A Religion and Spirituality podcast
Good podcast? Give it some love!
BIBLX

SeongTaejun

BIBLX

Episodes
BIBLX

SeongTaejun

BIBLX

A Religion and Spirituality podcast
Good podcast? Give it some love!
Rate Podcast

Episodes of BIBLX

Mark All
Search Episodes...
행위와 존재에서 첫 장에서 본회퍼가 이야기하는 초월적 시도입니다. 칸트의 초월론과 신칸트주의로 넘어가서 관념론으로 이어지는 초월적 시도가 과연 하나님의 계시를 이해하는 방법론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고찰입니다. 본회퍼의 작업은 인간의 이성을 하나님보다 우위에 두어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이해를 축소시켜버린 인식론적 방법론을 해체시키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온전한 계시를 드러내고자 했던 것입니다. https://youtu.be/h8_2Dg
본회퍼의 교수 자격 논문인 행위와 존재에 대해서 한 번 다뤄보려고 합니다.어려운 논문이지만 그래도 도전..!
마가복음 마지막입니다. 그동안 함께 들어주신 분들 너무 감사합니다.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근본이 되는 역사적 사건입니다. 하나님께서 창세기부터 약속하신 언약을 최종적으로 이루신 사건이 바로 부활이죠. 부활은 그저 신화가 아니라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 사실이며 그 사실에 근거한 목격자들의 진술과 그들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지켰던 삶으로 증명된 사건입니다. 많은 학자들이 이를 역사학적으로, 고증적으로 때론 법의학이나 수사학으로, 또는 인문
사도신경에서 언급되는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았다는 의미는 무엇을까? 피조물이 창조주를 심판대에 올려놓는 어처구니 없는 재판을 통해서 우리는 어떤 것을 깨달을 수 있을까? 형법적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고 재판했던 그의 변명이 과연 타당한 것이였을까? 조르조 아감벤의 빌라도와 예수를 읽으면서 우리가 쉽게 간과했던 예수님의 구속사의 시작에 대해 다시 생각보는 시간입니다. 우리도 현대판 빌라도처럼 하나님을 심판에 위에 놓고 나 스스로
예수께서 체포당하시는 장면에서 많은 의미를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왜 군호를 짜서 예수님을 밤에 잡으려 했을까? 마태복음에서는 예수께서 유다를 '친구'라고 부르는데 그 의미는 무엇일까? 대제사장의 종이 하는 일은 뭘까? 누가복음에서 기록된 것처럼 왜 예수께서는 오른쪽 귀가 짤린 말고(요한복음)의 귀를 왜 고쳐주셨을까? 51-52절에 등장하는 청년은 누구일까? 성경을 이루신다고 하셨을 때 이사야 53장으로 추정되는데 이사야 말
마가복음 14장은 예수께서 수난을 당하시기 전에 있었던 사건을 다루는 본문입니다. 마가복음 14장 32-42절은 겟세마네에서 공포와 두려움에 떠시며 기도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원어를 중심으로 보아야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본문인 만큼 들어보시고 삶에 잘 적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성찬식이 끝나고 예수께서는 제자들이 넘어지게 될 것과 베드로가 자신을 3번 부인하게 될 것을 말씀하십니다. 베드로가 예수님을 부인하게 될 예언은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닭이 상징하는 것과 유대 사회에서 3번이라고 하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를 파악하면 예수께서 왜 이 말씀을 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
마가복음 14장에서 가장 중요하고 그리스도교의 전신이 되는 성만찬 본문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식사가 지닌 의미와 구약 성서에서 볼 수 있는 식탁 공동체의 모습을 예수님께서는 새로운 언약과 연결 하셔서 하나님과 인간 사이에 새로운 약속이 맺어졌음을 완성하는 사건이 바로 성만찬입니다. 유월절 식사를 나누면서 시작된 성만찬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는 것은 기독교 신앙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마가복음 14장 1-21절은 예수를 죽일 음모를 꾸미는 대제사장들과 예수께 아낌 없이 향유를 부은 여인의 기사, 유다의 배신, 유월절 만찬을 나눈 기사가 있습니다. 왜 예수를 유월절 명절에 죽이려 하지 않았을까? 향유 부은 여인은 왜 예수께 값비싼 향유를 부었을까? 왜 사람들은(요한복음은 가룟 유다) 향유를 부은 여인에게 화를 냈을까? 가룟은 무슨 뜻일까? 유다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유다의 배신은 어떤 의미일까? 유대인들은 어떻게 유
마가복음 13장 후반부에는 예수님의 재림과 그때의 징조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종말론이라고 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종말론은 그리스도의 미래에 관하여 구원과 회복, 희망을 이야기하는 말씀인데 그동안 종말론이라고 하면 멸망, 말세, 전쟁, 천재지변 등 모든 것이 끝장나버리는 현상에만 치중되어왔습니다. 하지만 종말론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자들을 모으셔서 하나님 나라를 이 땅에 완성시킨다는 기쁜 소식을 묵시문학적 형식으로 표현한 것이라
마가복음 13장은 마태복음 24과 더불어 묵시문학적 표현방식이 나타나 있는 본문입니다. 신천지는 이 본문을 가지고 자신들만의 교리를 만들어 문제가 되어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신천지는 마태복음 24장의 전제를 성전 혹은 재림이라 설정하여 모든 내용을 영적 전쟁이나 교리 싸움과 같은 자신들만의 논리로 환원합니다. 하지만 마가는 말세나 종말에 대한 예언이라기보다 당시 박해를 받았던 그리스도인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서 묵시문학의
마가복음 12장 후반부는 서기관과의 대화와 과부의 헌금에 관한 주제가 있다. 서기관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가? 서기관에게 하나님 나라가 멀지 않았다고 말씀하시는 의미는 무엇인가? 외식하는 서기관과 오늘날 목회자는 어떤 관계일까? 왜 예수께서는 과부의 헌금을 가장 많이 내셨다고 하셨을까?
마가복음 12장 18-27절에서는 예수님과 사두개인의 부활 논쟁이다. 사두개인은 어떤 사람들인가? 계대법은 무엇일까? 왜 사두개인은 부활에 관하여 오해하는 명제를 세웠을까?부활 논쟁은 오늘날 말씀을 현실적으로만 해석하는 문제점을 잘 보여준다.
마가복음 12장 12-17절 가이사 논쟁입니다. 가이사 논쟁은 논리학에서도 딜레마를 다룰 때 주로 사용되는 본문입니다. 두 가지의 가언 명제에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해도 낙관에 봉착하는 명제입니다. 예수께서는 이를 지혜롭게 잘 대처하십니다. 바리새인과 헤롯당은 왜 예수님을 책잡으려 했을까? 가시아 논쟁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시사하는가?
마가복음 12장부터 예수께서는 예루살렘 성전에서 바리새파, 헤롯당, 사두개파, 서기관들과 계속해서 논쟁을 하시게 된다. 12장 첫 번째 소주제로 등장하는 악한 농부의 비유는 이사야 5장 말씀을 토대로 영악한 종교 지도자들을 비판하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에 적용할 점이 많은 본문이다. 왜 농부들은 상속자인 아들을 죽이려 했을까? 건축자가 버린 모퉁이 돌을 원어로 보면 어떤 의미인가? 앞으로 에피소드는 소
마가복음 11장은 예수께서 자신의 마지막을 준비하시기 위해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장면부터 시작합니다. 왜 예수께서는 나귀 새끼를 가져오라 하셨을까? 사람들은 왜 자신의 겉옷을 바닥에 깔았을까? 왜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셨을까?이 질문에 답하면서 예수의 권위를 무시하는 이들의 내용을 다루었습니다. 2018년도 첫 녹음이었는데 많이 피곤해서 목소리가 눌렸네요.. 다음부터는 건강관리를 잘 하겠습니다!
마가복음 10장 32-52절은 예수께서 자신이 수난 받을 것을 제자들에게 이야기하시는 장면과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이 예수께 주의 영광 중에서 하나는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앉게 해달라는 자리 다툼이 나타나고 맹인 거지 디메오의 아들이 예수께 나아와 치유를 경험하는 사건이 나타납니다. 마가복음 10장을 다루면서 짧게 나마 삼위일체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나누어 봤습니다.
마가복음 10장에서 중심이 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는 부자 청년 본문입니다. 부자 청년 본문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많은 교훈과 가르침을 주는 본문입니다. 히브리인들 사고방식에 '선하다'는 무슨 의미일까? 부자 청년이 예수께 나아와 구했던 '영생'은 무슨 의미일까?낙타와 바늘 구멍 비유는 무슨 의미일까? 같이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가복음 10장에는 여섯가지 주제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 당시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이혼 문제와 어린 아이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의 사건을 다루었습니다. 바리새인들과 서기관은 왜 이혼에 대해서 예수께 질문했는가? 모세가 이혼 증서를 발부해 주라고 했던 이유는 무엇이었나? 제자들은 왜 아이들이 오는 것을 막았을까? 예수께서는 왜 어린 아이와 같아야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씀하셨을까? 이 질문들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는 시간입니다.
마가복음 9장 38-41절 자기 서열에 대한 근심과 단독 대표가 되고자 하는 욕구가 요한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어서 예수께서는 물 한 그릇을 주는 행위가 하늘 상급을 이루는 행동이라 말씀하신다. 왜 예수께서는 '자신의 이름'을 의탁하여 일을 하는 사람을 반대하지 않으며 물 한 그릇을 주는 것이 상을 받는 것이라 말씀하셨을까? 42-50절은 죄의 유혹을 경고하시면서 왜 연자맷돌을 예로 들었을까? 또한 왜 손발을 자르고
마가복음 9장 2-37절에는 다섯 가지 주제가 있습니다. 변화산 사건, 귀신들린 소년 치유, 두 번째 수난 예고, 제자들의 자리 다툼 베드로는 왜 초막 셋을 짓자고 했을까? 제자들은 왜 귀신들린 소년을 치유하지 못했을까? 예수께서 수난 예고를 했을 때 제자들은 어떤 마음이었을까? 제자들은 왜 서열을 다투었을까? 예수께서는 왜 어린 아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셨을까? 히브리인들 관점에서 성경을 다시 볼 때 말씀에 대해서 새로운 경험을 할
마가복음 8장 22-38절 벳대가 맹인의 치유, 첫 번째 수난예고 마가복음 8장 후반부는 주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것으로 예수께서 자신이 감당해야 할 구속사에 대해 솔직하게 제자들에게 털어 놓는 장면을 묘사한 기사입니다. 마가복음 8장은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는 어떤 그리스도를 소망하고 있는가?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도구로써하나님을 삶의 자리에 초대하는가? 아니면 우리가 하나님의 창조 질서 가운데로 들어가고자
마가복음 7장 24-30절은 수로보니게 여인에 관한 말씀이다. 왜 예수께서는 수로보니게 여인의 부탁을 거절하듯이 말씀하셨나? 7장 31-37절의 말씀 데가볼리 지역으로 지나가신 예수께서 5장에서와 다른 사람들의 태도를 볼 수 있고 8장 1-9절 칠병이어 사건, 오병이어 사건 외에 또 한번 이와 같은 기적을 행하셨으며, 후에 예수께서 표적을 원하는 바리새인들을 향해 보여줄 표적이 없으며, 마태복음에서는 요나의 표적 말고는 보여줄 표적이
마가복음 7장 1-23절에서는 바리새인들의 전통을 비판하시는 예수님과 고르반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습니다. 타락 이후에 사람의 마음에서 나오는 것들이 악을 형성하게 되는 현실 가운데서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 붙들어야겠습니다.
최근에 이슈가 된 명성교회 세습 및 한국교회 세습 현황에 대해서 팟캐스트 형식으로 준비했습니다. 유튜브에는 자막과 사진으로 만든 영상이 있습니다. 블로그에도 정리해 놓았습니다. http://blog.naver.com/sparkman7 한국교회 세습 현황, 명성교회가 어떻게 법을 어겼는지 자세히 설명했고, 명성교회의 세습이 공교회성을 어떻게 훼손시켰는지 다루었습니다. 여러 정보들을 하나로 모아놓았다고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많은 분
Rate

Join Podchaser to...

  • Rate podcasts and episodes
  • Follow podcasts and creators
  • Create podcast and episode lists
  • & much more

Unlock more with Podchaser Pro

  • Audience Insights
  • Contact Information
  • Demographics
  • Charts
  • Sponsor History
  • and More!
Pro Features